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근로 시간 계산 하는 방법 정리

by Abby09 2023. 1. 31.
728x90

통상 근로 시간이라 해서 한달에 209시간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달에 209시간이라는 시간은 어떻게 나오게 된걸까요 ?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일주일에 5일, 8시간씩 근무하는 것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하면 통상 근로시간이 나옵니다.

 

 1) 하루 근로시간 8시간을 

 2) 주 5일 만근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하면

 3)  근로시간 만큼의 주휴시간 8시간이 더해지게 됩니다.

4) 결론은 8시간 x 5일 + 8시간 = 48시간

 

일주일의 근로 시간은 48시간이 됩니다.

 

그렇다면, 주휴시간이란 무엇인가?

 

쉽게 말해 계약서를 기준으로 일주일 만근을 햇을 경우

일주일에 하루는 유급 휴일을 주게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주휴시간이라 칭하고요.

 

주휴시간은 8시간이 기준이자, 최대입니다.

 

그럼 한달이 30일인 경우도 있고 31일인 경우도 있으니 어찌하면 좋을까요.

 

그래서 1년을 기준으로 계산을 하고, 그것을 월로 나누어 근무시간을 계산하게 됩니다.

 

 

1년은 365일이고, 52주이고, 12달 입니다.

 

1주일은 7일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계산을 하느냐 ...

 

 

365일을 12달로 나누면 30.4167일 입니다.

 

1달인 30.4167일을 1주일인 7일로 나누면 4.3452주 입니다.

 

그래서 일년을 기준으로 계산을 다시하면 한달에 4.3452주가 됩니다.

 

그래서 1주일의 근로시간인 48시간을 4.3452주(한달)에 곱하면 208.5714가 됩니다.

 

그래서 반올림하여 209시간이 되었습니다.

 

 

 

 

728x90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에서 동전 교환하기  (0) 2023.01.18

댓글